카테고리 없음

효경한글역주

jaye syo 2009. 7. 14. 00:52

- 설사 어떤사람이 아버지를 왼쪽어깨에 메고 어머니를 오른쪽어깨에 메고 살갗이 닳아 뼈가 드러나고,

다시 뼈가 닳아 골수가 드러나도록 수미산을 돌고 돌아 백천번을 지나치더라도

오히려 부모의 깊은 은혜는 갚을 수 없나니라.  - 용주사본 부모은중경 -

 

효경이라는 책은 널리 알려진 듯하지만 실제로 읽은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저작연대가 확실한 여씨춘추에 실려있는 효행편의 내용이 효경과 대차가 없기 때문에 효경의 성립연대를 BC3세기경으로 추정합니다.

고전은 판본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떠한 판본을 저본으로 역주를 하였는가를 철저히 밝혀야 한다는군요.

진시황의 분서갱유사건으로 인해 유실된 고문효경과 다시 복원되는 금문효경간의

금고문 시비로 인한 쟁명을 불식시키려고 양귀비와 희대의 로맨스로 잘 알려진 당현종이 스스로 어주효경을 지어 천하에 반포하였고

이후 사마광, 주희를 거치면서 효경의 내용출입이 멋대로 되었다는 것이지요.

특히 주희는 효경을 편집첨삭하는 작업을 감행하여 효경간오라는 책을 지었는데

동정이라는 사람이 상세하고 화려한 주석을 가하여 효경대의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내놓았고

조선의 유자들은 효경이 아닌 효경대의만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 계집이 남편을 죽이고 종이 주인을 죽이는 일은 혹 있을 수도 있는 일이지만,

이제 아비를 죽이는 자까지 있다고 하니,

이것은 반드시 내덕이 비색하여 일어난 일일 것이다. -

 

세종 10년 진주에 사는 김화라는 사람이 그 아비를 살해했다는 형조의 보고에 세종이 세태를 한탄하여 하신 말씀이라는군요.

 

효행록이 만들어지고 행실도가 만들어지고 역대 임금들이 다투어 효를 장려하느라

대대적으로 삼강행실도를 출판하여 전국에 보급하였다고 합니다.

그 궤적은 정조시기에 용주사에서 어명으로 출판된 불설부모은중경에 이르러 정점에 이른다고 하는군요.

아래에서 위로 일방적인 효가 아니고, 아버지에 대한 자식의 일방적인 효도 아니며,

엄마의 한 없는 은혜에 대한 자식의 효를 부모은중경에 그려놓았다는 겁니다.

저자는 기나긴 세월속에 효의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면밀하게 밝혀놓았지요.

 

- 효란 하늘의 벼리요, 땅의 마땅함이요, 사람의 길의 큰 근본이다. 효경의 이와같은 말씀에 더 붙일 말이 없다.

왕된 사람이 백성을 가르치고 풍속을 이루는데 효보다 더 절실한 것은 없다.

그러므로 정치를 행하고자 하는 자는 효를 일으키는 것을 제일 힘써야 하는 일로 삼지아니 한 자가 없다. -  정조 -

 

국가를 경영하는데 효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겠지요?

 

이책은 고전이 시대에 따라 망실되고 왜곡되고 복원이되는 과정을 치밀하게 천착하여 흥미진진하게 그렸습니다

이 시대에 왜 효가 필요한가 독자에게 제시하기도 하고 결국 인간의 사랑은 효에서 완성된다고 주장합니다

동서양의 종교 사상의 차이까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하였지요

일독을 권합니다